[1단계] 데이터 준비하기
https://www.data.go.kr/data/3073222/fileData.do
데이터 중 일부
시도 | 구군 | 행정구역명 | 시설명 | 소재지 | 물리적 용량 | ... |
서울특별시 | 서울특별시 | 난지 |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현천동 692-2 | 860000 | ||
서울특별시 | 성동구 | 성동구 | 중랑물재생센터 | 서울특별시 성동구 용답동 247-6 | 1590000 | |
서울특별시 | 강서구 | 강서 | 서남 |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동 74 | 1630000 |
공공하수처리시설 현황 정보를 제공한다.
시도, 구군, 행정구역명, 시설명, 소재지, 물리적 용량 등의 항목이 있다.
이번 실습에서는 시도, 시설명, 시설용량, 유입하수량, 방류량 항목만 사용한다.
[2단계] 알고 싶은 내용 질문하기
- 시도별 유입하수량 현황은 어떠한가?
- 시도별 하수처리시설 현황은 어떠한가?
- 유입하수량과 시설용량의 관계는 어떠한가?
- 시설용량과 방류량의 관계는 어떠한가?
[3단계] 태블로 시작하기
태블로 실행 - 파일 - 열기 - 데이터 선택 - 열기 - 시트 1 클릭
[4단계] 대시보드 만들기
첫 번째 질문을 위한 파이 차트 만들기
1. [시도], [유입하수량]을 다중선택하고 표현 방식의 파이 차트를 선택한다.
2. [유입하수량]을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을 해줬다.
3. [시도]와 [유입하수량]을 마크 카드의 레이블로 드래그하여 레이블을 추가해줬다.
4. 시트명을 '시도별 유입하수량'으로 변경해줬다.
두 번째 질문을 위한 대시보드 만들기
1. [시설명]을 열 선반으로 드래그하고, 드롭다운 - 측정값 - 카운트를 클릭한다.
2. [시도]를 행 선반으로 드래그한다.
3. [시설명] 카운트를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을 해줬다.
4. 마크 - 색상 - 색상 편집에서 색상을 노란색으로 변경해줬다.
5. 시트명을 '시도별 하수처리시설 수'로 변경해줬다.
1. [시설용량]을 열 선반으로 드래그한다.
2. [시도]를 행 선반으로 드래그한다.
3. [시설용량]을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을 해줬다.
4. 마크 - 색상 - 색상 편집에서 색상을 초록색으로 변경해줬다.
5. 시트명을 '시도별 하수처리시설 용량'으로 변경해줬다.
1. 새 대시보드를 생성하고 크기를 자동으로 설정한다.
2. 시트 2와 시트 3을 드래그하여 적절하게 배치해줬다.
세 번째 질문을 위한 분산형 차트 만들기
1. [유입하수량]을 열 선반으로 드래그한다.
2. [시설용량]을 행 선반으로 드래그한다.
3. [유입하수량]과 [시설용량]의 드롭다운 버튼을 클릭해 속성을 차원으로 변경한다.
4. 마크 카드의 드롭다운에서 '원'을 선택해 채워진 점으로 변경해줬다.
5. [시도]를 마크 카드의 색상으로 드래그하여 시도 별로 구분해줬다.
6. 분석 패널의 추세선을 차트 위로 드래그하여 선형 추세선을 추가해줬다.
네 번째 질문을 위한 분산형 차트 만들기
1. [시설용량]을 열 선반으로 드래그한다.
2. [방류량]을 행 선반으로 드래그한다.
3. [시설용량]과 [방류량]의 드롭다운 버튼을 클릭해 속성을 차원으로 변경한다.
4. 마크 카드의 드롭다운에서 '원'을 선택해 채워진 점으로 변경해줬다.
5. [시도]를 마크 카드의 색상으로 드래그하여 시도 별로 구분해줬다.
6. 분석 패널의 추세선을 차트 위로 드래그하여 선형 추세선을 추가해줬다.
스토리 만들기
1. 새 스토리를 생성하고 크기를 자동으로 설정한다.
2. 스토리텔링 순서에 맞춰 각 캡션에 시트와 대시보드를 구성해줬다.
3. 아래와 같이 캡션 이름을 변경하고 텍스트를 추가해줬다.
4. 추가적으로 제목을 추가하고 글꼴 및 글자 크기를 변경해줬다.
구분 | 캡션 이름 | 텍스트 내용 |
캡션 1 | 시도별 유입하수량 현황은? | 경기도의 유입하수량이 가장 많다! |
캡션 2 | 시도별 하수처리시설 현황은? | 하수처리시설의 수는 전라남도, 하수처리시설 용량은 경기도가 가장 많다! |
캡션 3 | 유입하수량이 많으면 시설용량도 클까? | 유입하수량이 많을수록 시설용량이 크다. 하지만 서울특별시의 경우 다른 지역보다 기울기가 완만하다. |
캡션 4 | 시설용량이 크면 방류량도 많을까? | 시설용량이 클수록 방류량이 많다. 하지만 서울특별시의 경우 다른 지역보다 기울기가 급하다. |
[5단계] 질문에 답하기
- 시도별 유입하수량 현황은 어떠한가?
경기도의 유입하수량이 가장 많다.
서울특별시의 유입하수량이 그다음으로 많다.
- 시도별 하수처리시설 현황은 어떠한가?
하수처리시설의 수는 전라남도가 가장 많고,
하수처리시설의 용량은 경기도가 가장 많다.
- 유입하수량과 시설용량의 관계는 어떠한가?
유입하수량이 많을수록 시설용량이 크다.
하지만 서울특별시의 경우 다른 지역보다 추세선의 기울기가 완만하다.
서울특별시는 유입하수량에 비해 하수처리시설의 용량이 작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.
- 시설용량과 방류량의 관계는 어떠한가?
시설용량이 클수록 방류량이 많다.
하지만 서울특별시의 경우 다른 지역보다 추세선의 기울기가 급하다.
서울특별시는 시설용량에 비해 방류량이 많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.
서울특별시는 다른 지역에 비해 유입하수량 대비 시설용량이 작고, 시설용량 대비 방류량이 많기 때문에
추가적인 하수처리 시설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.
참고 교재
황재진, 윤영진, 한빛미디어, 사례 분석으로 배우는 데이터 시각화
'📖 STUDY > Tableau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. 태블로 미니 프로젝트 (1) | 2023.12.06 |
---|---|
2-1. 대시보드 실습 (0) | 2023.11.27 |
2-0. 대시보드와 스토리 (0) | 2023.11.27 |
1-7. 워드 클라우드 실습 (1) | 2023.11.24 |
1-6. 하이라이트 지도 실습 (0) | 2023.11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