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1단계] 데이터 준비하기

 

https://www.data.go.kr/data/15083360/fileData.do

 

한국전력공사_낙뢰관측 정보_20181026

한국전력공사가 보유한 낙뢰감시기를 통해 관측된 낙뢰 발생 지점의 경도, 위도별 정보(시간 위도 경도 크기 컬럼 보유), 시스템 폐기로 과거데이터 참고용으로 활용해주기 바랍니다.<br/>

www.data.go.kr

 

데이터 중 일부

시간 위도 경도 크기
2018-10-26 1:10 40.44811 123.3436 16
2018-10-26 1:10 40.34302 123.514 16
2018-10-26 1:08 40.41327 123.4276 14

 

한국전력공사가 보유한 낙뢰감시기를 통해 관측된 낙뢰 발생 지점의 경도/위도별 정보를 제공한다.

이번 실습에서는 위도, 경도, 크기 항목만 사용한다.

 

 

[2단계] 알고 싶은 내용 질문하기

 

  • 낙뢰는 어디서 발생했는가?
  • 낙뢰 발생 위치에 따른 낙뢰의 크기는 어떠한가?

 

 

[3단계] 태블로 시작하기

 

태블로 실행 - 파일 - 열기 - 데이터 선택 - 열기 - 시트 1 클릭

 

 

[4단계] 하이라이트 지도 만들기

 

1. 데이터 패널의 [경도]에서 드롭다운 버튼 - 지리적 역할 - 경도를 클릭한다.

2. 데이터 패널의 [위도]에서 드롭다운 버튼 - 지리적 역할 - 위도를 클릭한다.

3. [경도]는 열 선반, [위도]는 행 선반으로 드래그한다.

4. [크기]를 마크 카드의 색상으로 드래그하여 낙뢰 크기가 작을수록 색이 옅어지도록 설정한다.

5. 마크 카드 - 색상 - 색상 편집에서 색상을 노란색으로 변경했다.

 

 

[5단계] 질문에 답하기

 

 

  • 낙뢰는 어디서 발생했는가?

     낙뢰는 대한민국 내륙, 대한민국 인근 해안, 중국 내륙, 중국 인근 해안, 일본 내륙, 일본 인근 해안 등

     다양한 장소에서 발생했으며, 인천 인근 해안 및 부산 인근 해안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.

 

  • 낙뢰 발생 위치에 따른 낙뢰의 크기는 어떠한가?

     인천 인근 해안 및 부산 인근 해안에서 낙뢰가 자주 발생했지만 크기는 약하게 나타났고,

     중국 인근 해안 및 일본 인근 해안에서 크기가 강한 낙뢰가 주로 많이 발생했다.

 

 

 

참고 교재

황재진, 윤영진, 한빛미디어, 사례 분석으로 배우는 데이터 시각화

 

'📖 STUDY > Tableau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-0. 대시보드와 스토리  (0) 2023.11.27
1-7. 워드 클라우드 실습  (1) 2023.11.24
1-5. 하이라이트 테이블 실습  (1) 2023.11.24
1-4. 분산형 차트 실습  (0) 2023.11.24
1-3. 파이 차트 실습  (0) 2023.11.24

+ Recent posts